북한 ‘우리민족끼리 카카오톡 공유 기능 추가’

 


(2014-03-21) 북한 ‘우리민족끼리 카카오톡 공유 기능 추가’


 


 


북한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가 카카오톡으로 기사를 공유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카카오톡 뿐 아니라 기존 트위터, 페이스북 이외에 에버노트, 레딧, 구글플러스, 싸이월드 등으로도 기사를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합니다.


 


이는 북한이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우선 북한이 카카오톡이나 에버노트 등 최신 서비스 현황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 북한이 이를 선전에 활용하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우리민족끼리는 지난 2011년 11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기사공유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합니다. 당시 북한은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구글, 네이버 등으로 기사를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최근 이를 확대했다고 합니다.


 



 


<사진1>


 


사진1은 최근 우리민족끼리 홈페이지 모습입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구글, 네이버, 싸이월드, 구글플러스, 에버노트, 레딧 공유하기 메뉴가 보입니다. 


 


 



<사진2>


 


사진2는 최근 우리민족끼리의 모바일 홈페이지 모습입니다. 카카오톡 공유 기능이 추가됐습니다.


 


 


 




<사진3>


 


사진3은 우리민족끼리 모바일 홈페이지의 일부 소스코드입니다. 소스코드에 명확이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등의 문구가 있고 실제 링크 주소가 나와있습니다.



에버노트(evernote)는 메모 서비스입니다.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PC 등에서 메모를 작성하고 동기화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레딧(reddit)은 소셜 뉴스 웹사이트로 자신이 쓴 글을 등록하고 그 글을 다른 사용자들의 투표를 통해 업 또는 다운을 선택해 순위에 따라 주제별 섹션이나 메인 페이지에 올라가게 된다고 합니다.


 


북한은 이들 서비스를 명확히 알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카카오톡, 에버노트를 추가한 것은 스마트폰으로 우리민족끼리에 접속하는 사람들을 겨냥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이 카카오톡, 에버노트, 레딧, 싸이월드 등을 대남서전에 활용하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런 서비스는 추가로 돈이 들지 않습니다.


 


북한이 우리민족끼리에 올리는 내용은 한국과 미국 등을 원색적으로 비난하고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등을 찬양하는 것입니다. 이번 조치는 이런 내용을 카카오톡 등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면됩니다.


 


정확한 북한의 의도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또 북한의 새로운 SNS 서비스를 동원한 선전선동에 대한 대비도 필요할 것입니다.


 


한편 북한이 이런 활동을 하는 것은 오히려 북한 사람들에게 한국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소한 우리민족끼리 홈페이지 개발자, 관리자, 기사 작성자 등은 카카오톡이 무엇인지 싸이월드가 무엇인지 궁금해하고 또 알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북한이 선전을 위한 활동이 오히려 한국의 현실을 북한 사람들에게 선전해줄지도 모릅니다.


 


 


강진규 기자 wingofwolf@gmail.com


 

북한, 페이스북 “좋아요” 버튼을 누르다

 


(2013-02-25) 북한, 페이스북 “좋아요” 버튼을 누르다


 


 


북한 선전기구들과 해외 친북단체들이 페이스북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선전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들은 페이스북에 김일성, 김정일, 주체사상, 선군정치 등 페이지를 개설해 활동하고 있으며 조선신보, 우리민족끼리 등 북한 매체도 페이스북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해외친북 단체인 조선친선협회(KFA)을 설립한 알레한드로 까오 데 베노스 조선친선협회 위원장은 지난 2011년부터 북한 김정은 1비서의 페이스북 계정을 만들어 운영했습니다.


 


그런데 이 내용이 1월 30일 일베저장소 누리꾼들에게 알려지면서 김정은 페이스북이 공격을 당해 지금은 폐쇄된 상태입니다.


 


 


 



<사진1>


 


사진1은 1월 30일 공격을 당한 김정은 페이스북 모습니다. 한국 누리꾼들이 북한을 비난하는 글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곧 페이지가 닫혔습니다.


 


그런데 북한 김정은 1비서의 페이스북만 운영된 것이 아닙니다. KFA을 비롯한 해외 친북 단체들과 북한의 대남 매체 우리민족끼리,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 등은 다양한 페이스북 페이지를 만들어 활용하고 있습니다.


 



 


 



 


 


<사진2>


 


사진2는 김정은 페이스북이 ‘좋아요’를 누른 페이지와 계정을 정리해 놨던 자료입니다. 16개 자료에 좋아요를 눌러놨는데 그중 상당수는 KFA와 연관된 해외 지부 또는 관련 계정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북한 페이스북을 찾아 분석해 봤습니다.


 



<사진3>


사진3은 김일성 페이스북 계정이 좋아요를 누른 곳을 표시한 모습니다. 선군 정치와 주체 사상 관련 페이지들이 눈에 띕니다.


 


 



<사진4>


사진4는 KFA의 영국 지부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의 좋아요를 누른 동향입니다.


 



<사진5>


사진5는 북한의 대남 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 페이스북 페이지와 좋아요로 연결된 곳들의 모습입니다. 김정일의 어머니이자 김일성 부인인 김정숙 페이지가 보입니다.


 



<사진6>


사진6은 북한 선군정치를 선전하는 페이스북과 연결된 곳을 나타낸 모습입니다. 우리민족끼리와 연결돼 있습니다.


 


 


 



<사진7>


사진7은 조선중앙TV 페이스북 페이지와 연결된 곳들입니다.


 


 



 


<사진8>


사진8은 주체사장을 선전하는 페이스북 페이지와 연결된 곳들을 나타냅니다. 영국 등 유럽관련 사이트들과 연결된 것으로 볼 때 유럽 쪽에서 개설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진9>


사진9는 연국 주체사상연구회의 페이스북 페이지가 좋아요를 한 곳들을 나타냅니다. 역시 우리민족끼리와 연결돼 있습니다.


 


 


 




<사진10>


사진10은 조선중앙통신 페이스북이 좋아요를 누른 곳들입니다.


 


여기에 나왔거나 혹은 아니더라도 다양한 페이스북 계정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물론 그의 어머니 김정숙 그리고 북한 고려항공, 태권도연맹, 북한축구대표팀, 북한사진그룹, DPRK커넥 등 다양합니다.


 


 


 



<사진11>


사진11은 김일성 페이스북 모습입니다. 좋아요가 1293번이나 눌러져 있습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이 페이지의 내용을 받아본다는 것입니다.


 


 


 



<사진12>


사진12는 김정일 페이스북 모습입니다. 좋아요가 795번이나 눌러져 있습니다.


 


 



<사진13>


사진13은 김정숙의 페이스북 모습입니다.


 


 


 



<사진14>


사진14는 주체사상을 홍보하는 페이스북 모습입니다.


 



<사진15>


사진15는 우리민족끼리 페이스북 모습입니다.


 


 



<사진16>


사진16은 조선신보의 페이스북 모습니다. 조선신보는 16곳의 페이지에 좋아요를 해 놨습니다. 그중에는 한국 페이스북 계정들도 있습니다. 이는 남남갈등을 유발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 페이스북 계정과 페이지들이 과연 진짜 북한의 것이 맞는지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누구나 페이스북 페이지를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들중 상당수는 실제로 북한 단체나 친북 단체들이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김정은 페이스북은 해외 친북단체 KFA가 만들어 운영했다고 합니다. 이 단체는 2월 16일 김정일 생일을 기념하는 해외친북세력의 구심점 역할을 담당한 북한에 공인을 받은 조직입니다.


이 단체에서 다수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만들었는데 이를 북한 당국의 허가없이 진행하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민족끼리, 조선신보 등은 해당 기관에서 운영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KFA와 조선신보, 우리민족끼리가 좋아요를 눌러서 추천한 사이트들은 북한이 연관된 공식적인 북한 페이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볼 때 위에 설명한 내용 중 많은 페이지들이 북한이 개설했거나 최소한 개설 사실을 북한 당국이 인지하고 있다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북한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북한 주민들은 인터넷 사용이 철저히 통제되고 있습니다. 즉 북한 주민들을 위해서 페이스북을 운영할 이유는 없을 것입니다.


 


북한은 페이스북으로 손쉽게 외국인들과 한국인들에게 선전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이 페이스북의 연결 구조를 활용해 대외적으로 보안을 유지하면서 북한에 우호적인 사람들에게 내용을 전달하려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김정은 등 북한 지도층의 관심 때문에 페이스북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이 페이스북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남남 갈등을 유발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사진17>


사진17은 알레한드로 까오 데 베노스 KFA 위원장의 페이스북 모습입니다. 이 사람이 김정은 페이스북을 운영한 바 있습니다.


 


 


북한의 목적이 어떤 것이든 현재 북한은 페이스북을 활발히 운영하고 있고 앞으로도 이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페이스북 활용 실태와 목적 등에 대해서 명확히 파악하고 북한의 꼼수에 넘어가지 않도록 대응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강진규 기자  wingofwolf@gmail.com


 


 

(2012-10-30) 조선우호협회 “북한 김정은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 중”

 


(2012-10-30) 조선우호협회 “북한 김정은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 중”


 


– 김정은 제1위원장 페이스북 내용 확인도


 


 


조선우호협회(KFA)가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김정은 제1위원장이 직접 페이스북 내용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재 페이스북에는 김정은 제1위원장 명의로 페이스북 페이지가 개설돼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계정은 영어로 김정은 제1위원장의 행적과 북한 동향을 선전하고 있습니다.


 


 



<사진1> 북한 김정은의 페이스북 모습


 


 



<사진2> 북한 김정은 페이스북에 올라온 사진 모습


 


 


김정은 제1위원장 페이스북 페이지는 지난 2011년 2월 9일 개설됐으며 2011년 9월 7일 처음으로 사진 등 자료가 올라왔습니다. 이후 사용되지 않다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한 12월 17일 이후인 2011년 12월 29일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12년 1월 3일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김정은 제1위원장의 현지 시찰 내용은 물론 부인인 리설주와 찍은 사진, 북한 주요 동향 등을 영어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를 425명이 좋아요를 클릭했으며 게시물에 리플을 다는 사람들은 대부분 외국인들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김정은 제1위원장 페이스북 페이지 연락처는 조선친선협회(KFA) 명의로 돼 있습니다.


 


이에 조선친선협회(KFA)에 확인을 요청했고 스페인에 거주하는 알레한드로 까오 데 베노스 조선친선협회 위원장과 단독 인터뷰를 했습니다.


 


 



                         <사진3> 알레한드로 까오 데 베노스 위원장


 


스페인 국적으로 올해 38살인 알레한드로 까오 데 베노스 위원장은 16살 때 유엔 세계관광기구 총회 참석차 스페인을 방문한 북한 대표단을 만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2년 뒤 북한을 방문한 후 친북 인사가 됐다고 합니다. 그는 2000년 조선우호협회(KFA)와 북한 공식 웹사이트를 개설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02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으로부터 북한 대외문제관계위원회 특별대표에 임명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는 현재 조선우호협회 위원장으로 북한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북한의 주요 행사가 있을 때 방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그는 로동신문에 기고를 할 정도로 북한 고위층의 신임을 받는 인물이라고 합니다. 그가 설립한 KFA는 대표적인 해외 친북 단체로 북한의 입장을 대변, 옹호하고 있습니다. 


 


김정은 페이스북 페이지에 대해 알레한드로 까오 데 베노스 위원장은 “김정은 원수 페이스북 페이지를 KFA가 관리하고 있다“며 “지난 2000년 설립된 KFA는 120여개국의 1만3000명이 참여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알레한드로 까오 데 베노스 위원장은 “주요 매체들의 (북한에 대한) 선전과 무지를 깨기 위해 페이스북을 운영하고 있다“며 “전 세계에 김일성, 김정일의 업적과 사상을 알려 나가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김정은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은 선전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김정은이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보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알레한드로 까오 데 베노스 위원장은 “그(김정은)가 페이스북 페이지에 방문할 뿐만 아니라 정기적으로 우리들과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알레한드로 까오 데 베노스 위원장의 주장대로라면 북한 김정은이 자신의 페이스북 개설을 알고 있으며 직접 방문하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김정은이 자신 명의의 페이스북 페이지 개설을 허락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북한 고위층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베노스 위원장이 독단으로 북한 최고지도자 명의의 페이스북을 개설할 수는 없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정은이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을 허락했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는 부분입니다. 


 


특이한 점은 페이스북 페이지가 2011년 2월에 개설됐는데 운영이 올해 들어서 활발해졌다는 점입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그 시점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후라는 점입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허락을 하지 않다가 김정은 제1위원장이 권력을 잡은 후 페이스북 운영을 허락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김정은이 과거와 비교해 유연한 사고 방식을 갖고 있으며 좀 더 개방적인 성격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김정은 제1위원장 페이스북은 지난 10월 28일과 29일에도 글이 올라올 정도로 최근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한이 선전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면 이런 움직임은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북한 김정은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비롯한 북한 관련 페이스북 접속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한 관련 페이스북의 누리꾼 접속을 제한할 것인지, 친구를 맺고 좋아요를 누르는 경우를 허용할지, 부분 허용할지 그것도 아니면 전면 불허할지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아일랜드 웹분석 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북한에 할당된 IP(인터넷주소)를 사용한 페이스북 사용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 2011년 1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통계 중 2011년 3월, 2012년 4월, 5월을 제외한 모든 달마다 북한 IP를 이용한 페이스북 접속이 보고됐다고 합니다.


 


 



<사진4> 스탯카운터 그래프에 나타난 2011년 1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북한 페이스북 사용 추이


 


 


최근에는 10월 1일, 2일, 3일, 4일, 5일, 9일, 19일에 북한 IP를 사용한 페이스북 사용이 감지됐다고 합니다.


 


 


 


디지털타임스 강진규 kjk@dt.co.kr


 


 


 


  


 


 


 


 


 

(2011-04-25) 북한이 페이스북에 접속하는 이유는?

북한이 페이스북에 접속하는 이유는?

통제 사회인 북한에서도 페이스북에 접속을 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4월 25일 웹분석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북한에서 적은 수치이기는 하지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에 접속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페이스북 이외에도 Mixx, 나우퍼블릭 등 SNS에 접속을 하고 있습니다.

스탯카운터는 유럽의 웹분석 업체로 전 세계 300만개 사이트 방문자의 인터넷주소(IP)를 추적해 분석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이들 SNS에 접속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정보 수집과 대외 선전 등의 목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은 누리꾼들 뿐만 아니라 유명인사 정치인 등이 이용하고 있어 북한의 정보 수집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또 북한이 최근 웹사이트, 트위터 등을 통해 대외 선전을 강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장 선상에서 SNS를 이용해 선전을 하고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북한이 어떤 목적에서 SNS 활동을 하는지 선전에 이용하고 있는 사례가 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그 실체는 여전히 미궁에 빠져 있는 상황입니다.

디지털타임스 강진규 기자 kjk@dt.co.kr